山.파~하

천안 흑성산 태조산

깃대봉 2016. 6. 3. 00:41

흑성산((黑城山) 504m.

소재지:충남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산행일시:2016년 6월1일(수요일) 날씨:맑음.
산행코스:각원사⇒대머리봉
⇒태조산⇒아홉사리고개⇒흑성산⇒독립기념관⇒주차장.

산행시간:3시간48분(휴식시간 포함) 산행거리(GPS):11.14㎞.

부산에서 08:00시에 출발하여 신대구 고속도.경부 고속도.중부내륙 고속도.

청주.상주 고속도.경부 고속도 천안IC를 나와 산행 시작점인 각원사도착하여

12:07분.산행을 시작한다.(차량 이동거리 약 314㎞.4시간04분 소요)

 

↓.산행시작점인 각원사 태조산루(太祖山樓) 앞에 버스가 도착한다.

산행은 태조산루 계단을 따라 청동대불 쪽으로 바로 올라가야 하는데 우리는 우측

도로 쪽으로 가면서 약간 우회하여 청동대불상 쪽으로 간다.

 

↓.12:07분.태조산루(太祖山樓) 앞에서 우측 도로를 따라

가면서 산행을 시작한다.

 

↓.도로를 조금 따라가다 다시 각원사로 들어 서면서 천불전을 지나간다.

 

↓.각원사(覺願寺).대웅보전.충남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대한불교 조계종  개산조(開山祖) 경해법인(鏡海法印) 조실(祖室)스님의 원력으로

1975년에 창건되어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로 등록된 사찰로 역사는 깊지않다.

 

↓.청동대불상으로 계단을 따라 올라간다.

 

↓.청동대불(靑銅大佛) 아미타불.

경해법인 조실스님께서는 한국전쟁(6.25사변)때 통일염원 성전건립의

서원을 세우고 오랫동안 교학과 수행정진 과정에서 태조산에 인연되어

재일동포 각연(覺然) 김영조(金永祚) 거사와 자연심(自然心)

부인 정정자(鄭貞子)보살의 시주로 1977년 5월 9일 좌대를 포함해서

높이 15미터 무게 60톤의 거대한 아미타불 좌불상 남북통일기원

청동대불(南北統一祈願 靑銅大佛)을 태조산 중봉에 봉안 하였다.

 

↓.산행 들머리는 청동대불상 뒷쪽으로 포장 임도를

조금 가다 갈림길에서 우측이다.

 

↓.탑과 돌탑을 지나고.

 

↓.마애불도 지나고.

 

↓.12:34분.유왕골 고개에 올라서고 좌측은 성거산.우측 태조산 방향이다.

 

↓.유왕골 고개 이정표.

 

↓.고개에 있는 각원사 안내판.

 

↓.도심속의 산이라 등산로가 반질반질 하다.

 

↓.13:07분.태조산(太祖山) 정상석이 있는 정자에 도착하여 점심을 먹고

13:21분.출발한다.(점심시간 14분).충남 천안 동남구 유량동과 목천읍의 경계이며

일명 태조봉이라고도 한다.천안의 진산(鎭山)으로 산 이름은 고려 태조가

이곳에서 군사를 양병했다는 설에서 유래 하였다.

 

↓.태조산 정상 정자에서 바라본 천안시 전경.

 

↓.태조산의 유래가 적혀있는 안내판.

 

↓.태조산 정상석과 정자.

 

↓.우측은 교보생명 연수원.

 

↓.전망 좋은 곳에서 천안시를 다시 바라본다.

 

↓.금북정맥 아홉사리 고개 이정표이고 진행은 흑성산 방향이다.

 

↓.13:54분.아홉사리 고개 2차선 도로에 도착하여

도로를 건너 흑성산으로 오른다.

 

↓.통신탑이 있는 임도에 올라서면 우측 헬기장 방향이다.

 

↓.14:22분.헬기장에 올라서니 시야가 트여 주위 조망이 시원하다.

 

↓.헬기장에서 지나온 능선길을 바라본다.

 

↓.헬기장에서 진행 방향은 통신탑을 좌측에 두고 철망을 따라간다.

 

↓.좌측 흑성산 정상에는 통산탑이 있어 출입이 불가능 하다.

 

↓.활공장에서 바라본 천안시.

 

↓.흑성산성이 바로앞에 보이고 산성을 둘러보고 되돌아

나와 독립기념관으로 하산을 한다.

 

↓.흑성문을 통과하고.

 

↓.흑성산에 관한 내용이 적허있다.

 

↓.흑성산 중계소 철탑 안테나.

 

↓.노대.

 

↓.노대 안내문.

 

↓.정자.

 

↓.정자 안내문.

 

↓.정자에서 내려본 하산지점 독립 기념관.

 

↓.천안시.

 

↓.공심돈에도 올라가 본다.

 

↓.공심돈 안내문.

 

↓.공심돈에서 통제되어 오를수 없는 흑성산 정상을 바라본다.

 

↓.흑성산성을 둘러보고 삼거리 갈림길로 되돌아 나와 좌측으로 간다.

 

↓.산길은 흑성산성을 좌측에 두고 아래로 열려있다.

 

↓.삼거리 갈림길에 흑성산 정상석이 있다.정상석 주위에 풀들이

자라 못보고 그냥 지나칠뻔 하였다.흑성산의 본래 이름은 검은성(儉銀城)인데

이 산을 중심으로 김시민.이동령,이범석,유관순,조병옥 등 많은 구국열사가 배출

되었으며 일제때 검다는 뜻을 그대로 옮겨서 흑성산으로 바꾼 것이다.

 

↓.삼거리 갈림길에서 좌측 독립 기념관 방향이다.

무심코 내려서면 그냥 지나 칠수도 있다.

 

↓.삼거리 갈림길에 있는 독립 기념관 표지판.

 

↓.도로에 내려서면 우측 방향이다.

 

↓.도로를 따라 내려오면 차단기가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들어선다.

 

↓.독립 기념관이 바로앞에 있고 뒤로는 지나온 흑성산 정상이 보인다.

 

↓.독립 기념관.

 

↓.독립 기념관 쪽에서 겨례의탑을 바라보고.

 

↓.독립 기념관 전경.

 

↓.겨례의탑을 지나간다.

 

↓.겨례의탑을 지나고 정문을 지나 주차장으로 간다.

 

↓.15:55분.독립 기념관 주차장에 도착하며 오늘 산행을 마무리 한다.

 

↓.독립 기념관 근처에 있는 무지개 식당에서 때이른 저녁을 먹고 부산으로 출발한다.

 

산행 개념도.

 

부산에서 천안까지 먼길 산행으로 날씨는 맑고 깨끗하여

주위 시야도 좋았다.천안시 도심속의 산이라 이정표 시설이

잘되어 있어 길잃을 염려는 없었지만 산행을 하고독립 기념관을 둘러

본다는 것은 무리였다.독립 기념관을 대충보고 하산지점 주차장에서

16:49분.근처 무지개 식당으로 이동하여 16:57분.식당에

도착하여 저녁을 먹고 17:38분.부산으로 출발하여 부산 전포동

도착은 21:46분이였다.(등대35)

'山.파~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 포록산 동망산  (0) 2016.08.03
가평 화악산 석룡산  (0) 2016.07.01
통영 한산도 망산 대봉산  (0) 2016.03.25
경산 환성산 무학산  (0) 2016.01.22
대구 팔공산  (0) 2015.12.28